안녕하세요! HB펜슬입니다.

요즈음 뜨거운 감자 같은 이슈인 일본 불매운동!

아마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들도 당연히 아실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오늘은 우리가 일본 불매운동을 하기 위해서 불매운동을 해야할 일본 기업 리스트들을 가져와봤습니다.

잘 봐주시고 일본 불매운동을 하는 이유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URL을 눌러 제가 이전에 올린 글을 봐주세요.


일본 불매운동 하는 이유

https://hbpencils.tistory.com/4

 

[일본 불매운동] 일본 불매운동이 시작된 이유(+일본 불매운동이 이 정도까지 확산된 이유?)

"독립 운동은 못했지만 불매 운동은 한다.", "BUYCOTT JAPAN.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구들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요즘 핫한 우리나라의 사회 이슈이자 한국인이라면 모..

hbpencils.tistory.com


일본 불매운동 리스트 총정리

일본 기업 리스트

위 사진에 있는 브랜드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모두 일본 기업들이라는 것인데요.

 "어? 저게 일본 기업이었어?" 싶은 브랜드들도 있으시죠?

그 정도로 일본 기업들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계속 자신들의 입지를 넓혀갔고 

우리들에게 익숙한 브랜드가 되어 버렸습니다.

이 외에도 아주아주 많은 브랜드들이 있는데요. 

지금부터 그 브랜드들을 하나씩 알려드릴게요!

 

유니클로

 

유니클로는 대부분의 분들이 아실텐데요. 사실상 일본 불매운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유니클로는 일본 불매운동하면 생각나는 대표적인 브랜드입니다. 실제로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백화점에 입점한 유니클로의 매출액이 2019년 7월 2일 기준 무려 17%p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또한 7월 14일에는 카드 이용율이 지난 주 대비 26.2%씩이나 감소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일본 자동차 브랜드

 

일본 자동차 브랜드인 '토요타, 렉서스, 인피니티, 혼다, 닛산'등의 브랜드들은 7월 기준 직전달보다 견적 견수가 무려 41%나 감소했다고 '겟차'에서 밝힌 적이 있습니다. 

 

 

다이소

 

사실 다이소는 그 국적이 애매한데요. 제가 다이소 국적논란에 대하여 이전에 올렸던 글이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다이소는 비록 국내기업이 소유하고 운영 중에 있지만 '다이소'라는 이름을 일본 기업으로부터 가져왔으며 현재 일본 기업이 지분의 약 34% 정도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불매운동의 영향에서 벗어날 순 없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국내다이소를 운영하고 있는 아성 기업 회장의 적극적인 해명으로 유니클로만큼의 영향은 받지 않았습니다.

다이소 국적논란https://hbpencils.tistory.com/3

 

지금부터는 브랜드들을 분야별로 구분해 나열해드리겠습니다.

 

분야 일본 브랜드
전자 소니, 히타치, 파나소닉, 도시바, 산요, JVC, TDK, 샤프, 엡손, 와콤, 린나이, 발뮤다, 교세라, 코니카 미놀타, SECOM, 칼리타, 미우라, NEC, 조지루시 등
자동차 도요타(렉서스), 혼다, 닛산(인피니티), 미쓰비시, 마쓰다, 마쓰시타, 스바루, 이스즈, 다이하츠, 스즈키, 미쯔오카, 히노 자동차, UD트럭, 어큐라, 사이언, 토미카이라, 코마츠, 히타치
주류(술)

슈퍼드라이, 프리미엄 죽센, 마스터 필스너, 그롤쉬, 페로니, 필스너 우르켈, 코젤, 티스키에, 드레허, 민타임 브루잉, KGB, 크루저

아사히주조([사케(일본술)] - 닷사이, 쿠보타)
기린맥주주식회사 - 전범기업 미쓰비시그룹 산하([맥주] - 이치방 시보리)
삿포로 홀딩스([맥주] - 삿포로, 에비스)
산토리 홀딩스([맥주] - 산토리 프리미엄, 호로요이 등[위스키] - 가쿠빈, 야마자키, 하쿠슈, 히비키, 치타, 보모어, 오큰토션, 글렌 기어리, 짐빔, 메이커스 마크, 부커스, 티쳐스, 캐내디안 클럽, 쿠르부아지에르, 로쿠진, 하쿠)
오리온맥주(한국수입명 : 오키나와)

스포츠/의류 유니클로, ABC 마트, 무인양품, 데상트, 아식스, 미즈노, 몽벨, 요넥스, 요지 야마모토(Y-3), 이세이 미야케, 준야 와타나베, 꼼데가르송, 사만사타바사, 사카이, 키모니, 띠어리(Theory), 45rpm, 랠리, 스피도, YKK, 니코앤드, 누오보, 미카사, 테스포르치
카메라/렌즈/안경 니콘(미쓰비시), 캐논, 올림푸스, 후지, 소니, 파나소닉(루믹스), 시그마, 호야, 펜, 안경제조, 메가네톱뿌, 미키홀딩스, 백산안경, 진즈, 옐로우플러스, Zoff, 아이간, 메가네수파
사무/문구 파이롯트, 제브라, 미쓰비시연필, 펜텔, 하이테크, 젤리롤, 헬로키티, 플래티넘, 세일러 , 타치카와, 오토, etranger di costarica, OLFA, 카시오계산기, 코니카 미놀타, 킹짐, 구쓰와, 고쿠요, 사쿠라크레파스, 시야치하타, 쇼와노트, 스리엠재팬, 세키스이화학공업, 세키세이, 다카하시서점, 데라니시화학공업, 디자인필, 톤보연필, 나카바야시, 니치반, 파일럿코퍼레이션, 히사고, 후에키노리공업, 브라더스공업, 플러스, 플라티나만년필, 마크스, 맥스, 마루망, 미츠쓰시연필, 야마토, 라이온사무기, 리히트러브, 레이메이후지이

[출처]http://nojp.info/  [일본제품불매목록]

위 링크로 들어가시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일본 불매운동이 몇몇 기업들에 미친 영향들 그리고 일본 불매운동 리스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본 불매운동을 강요할 수는 없지만 현재 일본의 행태로 봐서는 한국을 무시하는 듯한 느낌이 들긴하네요... 본때를 보여줘야 할것 같아요.

당장 검색창에 일본만 쳐봐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일본 불매 관련 검색어

"독립 운동은 못했지만 불매 운동은 한다.", "BUYCOTT JAPAN.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구들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요즘 핫한 우리나라의 사회 이슈이자 한국인이라면 모두 알고 참여하고 있을 일본 불매운동인데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본 불매운동은 알고 있지만

실제로 왜 일본 불매 운동이 시작되었고 이렇게까지 확산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고 참여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오늘은 여러분들이 일본 불매운동에 대한 이유를 알고 더 잘 참여할 수 있도록 일본 불매운동을 하는 이유와 그 배경 등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일본 불매운동을 설명한다면서 갑자기 왠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얘기냐구요? 일본 불매운동은 놀랍게도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분들의 피해 보상 소송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사실!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1997년 할아버지 두 분(여운택, 신천수)이 일본제철을 상대로 강제 징용에 대한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일본 법원에 소송을 냅니다. 그러나 기나긴 싸움 끝에 2003년에 패소하게 됩니다.

일본 법원이 이러한 판결을 내린 이유는 '전쟁 전 일본제철과 현 일본제철은 다르기 때문에 현 일본제철이 구 일본제철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질 의무가 없고' '1965년 한일 양국이 맺은 청구권협정에 있는 한일 양국과 국민들의 재산, 권리 및 이익 문제가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는 내용도 이러한 판결의 이유였습니다.

일본 법원의 이러한 판결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두 할아버지는 또 다른 강제징용 피해자셨던 이춘식, 김규수 할아버지와 함께 2005년 다시 서울중앙지법에 소송을 냅니다.  그리고 이 기나긴 싸움 끝에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30일에 피해자 1인당 1억원씩 배상하라는 판결을 냅니다. 이렇게 힘들게 승소를 거두었지만 이춘식 할아버지께서는 마냥 기쁘지만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소송 과정에서 피해를 입으신 할아버지 네 분 중 무려 세 분이 돌아가셨기 때문이였죠.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유일한 생존자이신 이춘식 할아버지

강제징용 피해자 사건은 이렇게 일단락 지어지는 듯 했습니다.

끝이 아닌 시작

출처: 포토뉴스

그러나 문제는 지금부터 시작이었습니다. 일본 아베 정부는 대법원의 판결이 국제법에 어긋난다며 판결에 반발하게 됩니다. 그리고 2019년 7월 1일, 아베 정부는 한국 산업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는 반도체에 필요한 원료 세 가지의 한국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다음 날인 7월 2일 아베 신조는 일본 정당 대표 토론회에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언급하면서 "한국이 청구권을 포기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우대조치를 하지 않았다."라며 전날 시작된 수출규제가 경제 보복성 조치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리고 다음 날인 7월 3일 SNS에서 일본 불매운동 여론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조롱, 일본 불매운동의 확산

한국에서 일본 불매운동이 확산되자 일본 측에서는 한국을 약소국이라고 칭하며 전혀 타격이 없다는 식으로 조롱했습니다. 또한 일각에서는 한국 불매운동 여론이 생기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일본의 태도에 분노한 한국 국민들은 일본의 태도를 비판하고 일본이 비웃는 한국의 힘을 보여주기 위해 일본 불매운동의 범위를 넓히고 더욱 열심히 참여하며 일본 불매운동을 주변 사람들에게 홍보하여 다른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도 했습니다. 

+ Recent posts